본문바로가기



페이지 위치

> 특성화 > 4주기 특성화 > 가상증강현실

가상증강현실


1. 비전과 목표

2. 특성화 분야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 현황

가상증강현실 교육과정 및 현장실습 모델
구분 내용
교과목 개편 가상.증강현실 교과목 18개 과목을 신설하여 2014년 1학기 및 2학기 교과목으로 채택하여 운영

3. 특성화 분야 기술개발, 기업지원, 인력교류 현황

가상증강현실 교육과정 및 현장실습 모델
구분 내용
EON Reality 및
리치앤타임과 협업
(2014.2)
우리대학의 특성화사업에 참여하는 EON Reality와 리치앤타임은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분야에서 많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우리대학과 협력을 통한 전문가 교육, 공동기술개발 등을 수행
디스플레이 : 홀로그램,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등 시각 기술
디지털소재 : Shader로 재질감, 표면처리, 후가공요소 개발
디바이스 : 오감을 실시간 구현 가능하게 연동하는 기술
AR기술 : 감성, 인지, 인간공학을 통한 증강현실 구현
시뮬레이션 : 그래픽스시스템 최적화 기술개발
(주)인터탭과 협업
(2013.11)
인터탭은 가상현실분야 국내 많은 제작 노하우를 보유한 업체로 우리대학의 특성화분야와의 공동과제 수행,
교육, 산학협력 연계 등을 수행
가상현실 체험관, 한국원자력발전소 시뮬레이션 등 과제 수행
서울미디어랩(주)
(2013.3)
서울미디어랩은 영상콘텐츠 제작 및 교육 전문기관

  • 새로운 디자인과 공학의 융합 패러다임을 창조하여 선도함
  • 4개의 학과(영상예술디자인학과, 시각정보디자인학과, 멀티미디어학과, 컴퓨터공학과)중심으로 매년 총 40명의 학생을 모집하여 3년 과정
    Track (2학년, 3학년, 4학년)을 이수하는 것을 목표로 함. 추후에 4개의 학과를 비롯한 전체 공학계열 예능계열로 확대
  • 본교의 2014학년도 연계전공 신규 개설 교육과정 구성 기본방침에 따르는 학점을 이수할 경우, Certification 제공 및 가상.증강현실 수업에
    진행하는 작품으로 각 과의 졸업 작품을 대처할 수 있음

가상증강현실 교육과정 및 현장실습 모델
단계 목표 주요추진내용 추진방법 및 전략
1 입문과정 융복합 기초학습 과학, 공학, 인문학, 디자인, 예술 등의 기초 능력 배양 전공교육과정 개발 개편
2 발전과정 및
개발과정
신기술 융복합
능력 배양
다양한 신기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컨셉을
구체화하고 이를 신기술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능력 향상
전공교육과정
심화전공 교육과정
가상.증강현실
기술기반 융복합
컨셉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며, 기술의 소재를 파악하고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 VR, AR 등
다양한 소재 및 신공법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실습을 통한 경험
심화전공 교육과정
캡스톤 디자인
3 통합과정 산학협력 기반
비즈에듀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에 적응하고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창업가 정신, 전략과 경영 등의 이해를 도모
산업체 현장파견 교육 효율
극대화
현장실습을 통한 실무 경험

4. 교과구성

가상증강현실 교육과정 및 현장실습 모델
단계 목표 주요추진내용 추진방법 및 전략
2 입문과정 융복합 기초학습 창의형 교육 컨셉 드로잉
영상디자인
감성공학과 감성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언어
비주얼C++
2D 컴퓨터그래픽스
3D 컴퓨터그래픽스 1
3 발전과정 및 개발과정 신기술 융복합 능력 배양 창의형 교육
실무형 교육
미디어 인터렉션 디자인
디지털크리에이쳐
3D모델링
3D 컴퓨터그래픽스 2
가상.증강현실 기술기반 융복합 실무형 교육 3D GIS
Design Enterprise Workshop
가상.증강현실 프로젝트기획
Eon 스튜디오
4 통합과정 산학협력 기반 비즈에듀 실무형 교육 Eon 프로젝트
증강현실 제작실습
가상.증강현실 인터페이스 디자인
인터렉티브 프로그래밍
캡스톤 디자인 1 (R&D)
캡스톤 디자인 2 (Bizedu)
캡스톤 디자인 3 (졸업작품 프로젝트)
현장실습

5. 연차별 사업 추진 일정

가상증강현실 우수인프라 구축
NO 사업추진내용 1차 년도 2차 년도 3차 년도 4차 년도 5차 년도 비고
1 센터 구축
2 교육과정 개설
3 교육과정 운영위원회 개최

6. 특성화 사업 연차별 프로젝트 교육 계획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