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페이지 위치

> 특성화 > 4주기 특성화 >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특성화 비전 및 계획

글로벌 발전전략 및 사업운영
비전 해외 한국기업 미래창조형 GBI(Global Bridgebuilder) 인재양성
목표
  • 글로벌 Bridgebuilder 교육 인프라 구축
  • 글로벌 Bridgebuilder 교육프로그램 개발
  • 운영해외 산학연계 글로벌 Bridgebuilder형 유급 인턴십 및 취업구현
논거
  • 해외 거점 한국 기업에 Bridge builder(가교) 가능한 유급 인턴 관리자 양성을 통한 청년 실업 해소 필요
  • 해외 진출한 국내 기업의 현지 생산인력과 국내 기업간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로벌 감각을 갖춘 인력 양성 필요
  • 정부관련기관주도 해외 유급 인턴십 참여인력 양성 필요
  • 해외 거점 한국기업에 근무를 원하는 현지인 생산 인력 양성 필요
  • 외국인 대상 한국어, 문화 교육을 통한 해외 거점 국내 기업의 원활한 인력 양성 필요
세부목표

    GBI 교육인프라

  • 글로벌 인큐베이터 교육구축
  • 글로벌 비즈니스 트랙전공 구축
  • I-CUBE 활용 콘텐츠 구축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구축)

    GBI 교육프로그램

  • 언어 및 문화 인큐베이터 교육
  • 글로벌 비즈니스 트랙전공 심화 교육
  • I-CUBE 실습실 활용교육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확용)

    GBI 취업구현

  • 정합형 GBI 인력양성
  • 현지기업 맞춤형 GBI 인력양성
  • NSU ICC지원에 의한 GBI 인력양성
  • ※ ICC: International Cooperation Center

사업배경과 진출 분야

1. 배경

배경
여건 필요성
대학
  • 대학의 국가청년실업 문제 해소정책 동참
  • 대학의 선진 교육 시스템활용 교육
  • 학생 및 학부모의 국제화 요구 증대
  • 참여학생의 수속비 부담 완화
  • 대학의 국가청년실업 문제 해소정책 동참필요성
  • 대학 보유의 가상현실증강체험 교육콘텐츠를 활용 GBI인력양성의 필요성
  • 학생 및 학부모의 요청에 따른 글로벌화 필요성
  • 학생 수속비 지원을 통한 GBI 참여인력 확대 유도
기업
  • 해외 진출 한국 기업 양질의 가교 인력 부족
  • 해외 소재 한국 기업에 필요한 양질의 인력 부족
  • 해외 진출 한국 기업에 필요한 양질의 가교인력 양성 필요성
  • 국내 기업에 필요한 양질의 해외 가교인력 양성 필요성

2. 양성분야

양성분야
구분 미국 중국/일본 베트남 필리핀
대상국가
  • 자동차 / 전자 산업
  • 호텔 / 관광 산업
  • 광고 산업
  • 의류 / 미용 산업 등
  • 자동차 / 전자 산업
  • 호텔 / 관광 산업
  • 의류 / 미용 산업 등
  • 전자 산업
  • 의류 / 무역 산업
  • 호텔 / 관광 산업 등
  • 호텔 / 관광산업
  • 의류 / 무역산업
  • 전자 산업 등

페이지 맨 위로 이동